청각장애인의 定義(정이) 및 장애인 재활 체육 지도법과 보조기기 연구
페이지 정보
작성일 22-12-02 18:01본문
Download : 청각장애인의 정의 및 장애인 재활 체육 지도법과 보조기기 연구.doc
- preview를 참고 바랍니다. 80dB 중도 옆에서의 소리, 상당히 큰소리라면 들을 수 있다 100dB 최중도 귓전에서 외치는 소리, 제트엔진의 소리를 들을 수 있다 120dB ? 가까운 곳의 싸이렌 소리 ?
?정상의 청력을 가진 사람이 들을 수 …(skip)
레포트/인문사회
청각장애인,정,장애인,재활,체육,지도법과,보조기기,인문사회,레포트
설명






Download : 청각장애인의 정의 및 장애인 재활 체육 지도법과 보조기기 연구.doc( 20 )
다. 60dB 준중도 큰소리의 회화, 큰소리로 이야기하면 겨우 들린다.
청각장애인의 定義(정이) 및 장애인 재활 체육 지도법과 보조기기 연구
청각장애인의 정의 및 장애인 재활 체육 지도법과 보조기기 연구 - 미리보기를 참고 바랍니다. , 청각장애인의 정의 및 장애인 재활 체육 지도법과 보조기기 연구인문사회레포트 , 청각장애인 정 장애인 재활 체육 지도법과 보조기기
순서
청각장애인의 定義(정이) 및 장애인 재활 체육 지도법과 보조기기 연구
주제: 청각장애인의 정의(定義) 및 체육 지도법,보조기기
- 차 례 -
1) 청각 장애의 정의(定義) 및 특징
2) 언어 지도 방법
3) 체육 지도 방법
4) 실기 지도 방법
5) 청각장애인 보조기기
청각 장애의 정의(定義) 및 특징
특수교육진흥법에서는 청력 손실도와 의사소통 및 청력을 통한 교육 가능 정도에 따라 구분하고 있고, 장애인복지법에서는 청력 손실도와 말소리 명료도에 따라 분류하고 있다
미국 농학교 대표자회의(1975)에서는 청각장애를 다음과 같이 농과 난청으로 구분하고 있다
농 : 보청기를 착용하거나 착용하지 않은 상태에서 청각으로 언어적 정보를 성공적으로 처리할 수 없는 청각 장애인
난청 : 보청기를 이용해서 청각으로 언어 정보를 처리하기에 충분한 잔청을 가지고 있는 청각장애인
청력 손실수준 구분 교육적 조치 <난청(難聽)> 27~40dB mild(경도) 좌석배치 및 언어치료 41~55dB moderate(중등도) 보청기 착용 및 언어치료 56~70dB moderately severe(준중도) 보청기, 청능훈련 <농(聾)> 71~90dB serve(중도) 보청기, 언어훈련 91dB이상 profound(최중도) 청력보다는 시력에 의존
청력의 구분
??WHO에서는 양쪽 귀의 mean or average(평균) 청력 레벨이 25dB 이상의 상태를 청각장애로 하고, 그 정도를 다음과 같이 분류하고 있다
<청력의 구분>
dB 구분 내용 0dB ? 건청자가 들을 수 있는 소리 20dB 경도 조용한 회화, 회화가 잘 들리지 않으며 잘못 들릴 수 있다 40dB 중등도 보통이야기의 소리, 보통의 이야기 소리가 겨우 들린다.